응급 간호 순위 1) 안전한 장소로 이동 2) 기도 유지 : 턱들어 올리고 이물질 제거 3) 인공적 호흡 시작 4) 외부 심장 압박 5) 출혈 통제 : 상처 바로 위 동맥 압박 6) 척수, 사지 손상 부위에 부목 7) 개방 상처 : 멸균 천, 깨끗한 천으로 상처 덮음 8) 가능한 빨리 이송 : 저체온 예방 >> 의식 ⇒ 호흡 ⇒ 맥박 ⇒ 출혈 ⇒ 골절 ⇒ 이송
응급처치의 기본 ABC원칙 -Airway 기도 확보 , Breathing 호흡, Circulation 순환
심폐 소생술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의식 유무 확인 -주위의 도움 요청 -기도 개방 후 호흡 확인 -2번 인공호흡하여 흉곽의 움직임 관찰 : 이물로 인한 폐쇄 확인 -맥박 확인 -출혈 검사 -인공호흡 : 심장마사지 : 2:30으로 시행
CPR시 사정해야할 것?
|
환자 입원시 OT줄 내용
|
Morphine, Demerol, Codeine -심한 통증의 완화, 심한 기침발작의 진정, 전신마취의 보조 -주의 사항 : 호흡 억제시키는 경향 있으므로 투여 전 반드시 호흡수 사정 -부작용 : 변비, 오심, 구토, 진정작용, 혼미, 급성 호흡 억제 |
디곡신이 어떤 약이냐, 디곡신 투약시 주의사항 -Digitalis 제제(Digoxin) : 심근 수축 강화 >> 심부전증에 사용하는 약 -심부전? 심장에서 신체의 대사요구에 따른 혈액량 박출하지 못하는 경우 -Digitalis 투약시 주의사항 : Digitalis 독성 sign 사정 *위장계 중독 증세 : 오심, 구토, 설사, 복통, 부정맥, 기면, 시력장애 *심맥관계 중독 증세 : 맥박수 매일 관찰, 부정맥-서맥 주의 *투여 전 1분 동안 심첨맥박 측정 : 빠르거나 60/min이하이면 noti |
헤파린 투약시 임상병리 VS 와파린 (심근경색증 등) -헤파린 : 직접적으로 안티트롬빈 III에 작용해 혈소판 생성 억제, 작용시간 빠르나 반감기 짧음 -와파린 : 간접적 작용, 효과 늦게 나타나며 반감기도 길어 하루 1회 복용 가능 -보통 항응고요법이 필요한 환자는 처음 시작할 때 헤파린으로 시작, 퇴원하기 몇일 전부터 조금씩 와파린으로 전환 |
손씻기 ; 이유, 방법(내과적 방법, 외과적 방법), 세정제 말고도 손씻기 방법, 교육 -손을 씻는 이유 : 감염 방지 +방어기전에 손상을 주는 치료 하기 전, 상처 만지기 전후, 오염된 물체를 만지고 난 후 -손씻는 방법 *내과적 손씻기 : 미지근한 물로 오염을 털어낸 후 소독재를 묻히고 15초 이상 충분히 문지른다. *외과적 손씻기 : 병원성균을 완전제거하는 것 ; 소독제를 골고루 뭍힌 후 손을 이용하여 손과 팔 전박 모두. 소요시간 14분 정도 -세정제 말고도 손씻는 방법?
-손씻기 교육 -MRSA :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VRE : Vancomycin Resistant Enteroccocci |
감염 예방법 -장갑 착용 및 손싰기 -가운 -환자 사용 의료기구 소독 |
관장의 목적, 체위, 종류, 용액의 양, 관장 (관장의 종류, 관장액의 양, 온도) -목적 : 배변을 돕기 위해, 장내 청결을 위함 -금기 : 장염, 장폐색 등과 같은 장 질환환자(관장으로 인해 장 파열 등의 합병증 유발) 관장액 주입시 장천공, 출혈가능성, 장점막 괴사 및 손상 가능성 있을 시 순환 과잉, 수분중독증, 고칼륨증 환자 장수술 및 부인과 수술 직후 절대 안정 시 (두개내압 상승, 급성 심근경색 증) -튜브 : 성인(22-30), 아동(14-18), 영아(12) -종류 : 1) 솔린 관장 (솔린액 성인 1회 118ml) 2) 청결 관장 (미지근한 생리식염수 500~1000cc), 항문속으로 10cm정도 넣음 3) 글리세린 관장 (관장액(글리세린 25cc+따뜻한 물 25cc) 4) 손가락 관장
1)청결관장 *액의 종류 : 수돗물(500~1000ml), 생리식염수(500~1000), 비눗물(500~1000), 고장성 식염수(120ml) 2)구풍관장 3)정체관장 -약물주입 관장 -유류정체 관장 : 광물성 기름이나 글리세린 90~140ml -영양주입 관장 : 포도당 용약 -찬 수돗물이나 생리식염수 -체위 : 심스체위 -관장 온도 : 성인 40~43도, 아동 37.7도 (너무 hot;장점막 손상,통증 유발, cold;괄약근의 경련 일으킴) -심호흡 이유 : 관약근 이완, 직장 점막 손상 막음 -방법 : 물품 준비 ⇒ 대상자 확인, 절차 교육 ⇒ 손씻고 장갑착용(내과적 무균술) ⇒ 스크린 ⇒ 심스 체위 ⇒ 변기 놔두기 ⇒ 윤활제 묻혀 부드럽게 엉덩이 벌리고 대상자 입으로 천천히 심호흡 내쉬도록 함으로써 이완되도록 한뒤, 직장팁을 직장안으로 부드럽게 삽입 (성인 10cm) ⇒ 관장 용기 30cm정도 들어올림 ⇒ 용액 주입 끝날 때까지 튜브 잡아 장 수축으로 직장 튜브가 빠져 나오지 않도록 함 ⇒ 용액 다 주입되었으면 관 잠금 ⇒ 항문 휴지 막고 튜브 제거 ⇒ 5~10분간 참거나 가능한 침대에 오래 누워있도록 권함 |
인공도뇨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유치도뇨는 언제 적용, 주의사항, 방광세척시 필요한 물품 -단순도뇨(Nelaton) +목적 : 자연배뇨가 곤란한 경우 배뇨시키기 위해 / 무균적으로 소변을 받아 검사하기 위해 / 배뇨후 잔뇨량 측정 +적응증 : 자연배뇨가 불가능한 자 / 외음부 창상으로 자연 배뇨시 소변으로 오염될 우려가 있는 경우/ 방광세척 -유치도뇨 +목적 : 장시간 자연배뇨가 불가능할 때 계속적인 배뇨 돕기 위해 회음부 수술환자의 오염 방지, 수술시 방광의 팽창 예방 방광 내 세척이나 약물 주입 위해 시간당 소변량 측정 위해 +적응증 : 하복부 수술, 하반신 마비, 장시간 수술, 무의식 환자 +카테터 교환시기 ; 7일마다 +주의사항 : 손씻기, 도뇨관 오염되지 않도록 주의하도록 교육, 오염된 표면에 배액주머니 마개 닿지 않도록 유의하도록, 배액관 분리되었을 때 도뇨관이나 배액관의 끝을 손으로 만지지 말 것, 적어도 매8시감마다 배액주머니 비울 것, 소변이 꼬이거나 방광으로 소변이 역류되지 않도록 할 것 -역격리 : 병원균이 있는 환경으로부터 환자를격려하는 것. 면역기능이 극도로 저하된 환자를 오염원이 있는 일반 환경으로부터 격리하여 먼지가 없이 청정한 공간에서 보호 |
당뇨 정의.저혈당 수치.간호.합병증 당뇨병의 3대증상-다뇨 다갈 다식 / 저혈당증의 증상 -어지러움증,현기증,심하면 중추신경계 장애로 경련, 빈맥 등/ 인슐린 교육법 -인슐린 종류 +속효성 인슐린(레귤러 인슐린,RI) : 15분내 효과, 2~4시간 최대에 도달, 6~8시간동안 효과 지속 +중간형 인슐린(NPH 인슐린) : 주사후 30~60분내 효과, 8~12시간 최대, 18~24시간 동안 효과지속 -복부가 인슐린 투여에 좋은 장소인 이유? : 흡수가 일정하게 이뤄지는 부위, 인슐린 작용을 최대화할수 있고, 지방 괴사 등 미용적인 문제 발생시 감출수 있다. |
HIV ; full term, 전파경로, 완전격리인지 역격리인지 |
수혈 부작용시 해야할 것, 수혈시 간호, 수혈중엔 무얼해야 하는지, 수혈 부작용 -목적 : 부족한 순환혈액량 보충, 부족된 혈액 응고인자 보충, 혈액의 산소운반 능력 증가, 혈액 중 결핍된 성분보충 -수혈전 사정 : 수혈하는 이유 아는지, 수혈이나 수혈 반응 일으킨 적 있는지, 환자가 알고있는 혈액형, V/S 측정 -수혈시 간호 : +대상자의 이름, 혈액형, 혈액번호, 유효기간 다시 확인 +체온, 혈압, 맥박 등 측정, 정상범위 벗어난 경우 의사에게 알림 +수혈 시작 후 최소한 10~15분 동안 환자곁에서 수혈 부적합반응 나타나는지 관찰 +수혈 도중 이상증세 호소하거나 관찰되면 즉시 수혈 중단 >> 의사에게 알리고 동시에 새로운 수액세트에 생리식염수로 정맥라인 확보 +수혈 전 과정과 대상자의 반응을 간호기록지에 자세히 기록 -수혈 부작용 +용혈반응 : 수혈 중지하고 생리식염수로 대치, 수혈되던 혈액백과 신선뇨를 혈액은행에 보내 검사 +순환기계 부담(호흡곤란, 청색증) : 산소 공급, 천천히 혈액 주입 +발열 반응 : +알레르기 반응 -전반적인 수혈 부작용시 간호 중재 +수혈 즉시 중단하고 환자의 활력 징후 측정 +혈액 주입하던 IVset를 제외하고 새로운 세트를 이용해 생리식염수 연결 +식염수로 혈관을 유지하고 혈액백과 수혈세트는 혈액은행에 검사 의뢰 +의사에게 환자의 증상을 보고하고 지시에 따라 direct coomb's test나 용혈검사(소변검사) 실시 +활력징후 안정될 때까지 환자 상태와 I/O 주의깊게 관찰하고 다른 반응이 나타나는지 관찰한다. +과민반응이 의심된 환자에서 수혈을 계속할 경우 의사의 지시를 반드시 기록 |
|
유방자가검진 실시 시기, 유방암 진단 검사 종류 |
심근경색시 산소 몇리터 주어야 하나 |
L-튜브 삽입 목적과 확인 방법, 자세 -삽입 목적 : 환자가 음식을 구강으로 섭취할 수 없을 때 비강으로부터 위까지 관을 통해 음식을 주입과 gas passing을 돕기 위해서 실시 -음식물의 온도 37~38, -자세 : 좌위, 반좌위 -확인 방법 : air 소량을 시린지에 넣어 튜브를 통해 넣으면서 검상돌기 아래부분을 청진하여 확인 튜브 끝에 주사기를 꽂고 위장관액을 10~20cm흡인해 본다. -흡인한 위장관액의 ph농도를 측정해본다 -주사기를 가지고 튜브 속으로 공기를 10~20cc주입하며 상복부에서 청진기로소리를 듣는다 -튜브의 끝을 물을 담은 용기에 담근다. -튜브의 위치를 방사선으로 찍어본다. |
심근경색과 협심증과의 차이, 심근경색 통증 부위, 원인, 증상 -협심증과 심근경색 모두 관상 순환계의 불충분한 혈액공급으로 인해 등통이 일어나는 공통점이 있지만 협심증의 동통 지속기간이 짧은 반면 심근경색은 30분 이상으로 길고 협심증은 휴식이나 ntg투여에 의해 완화되지만 심근경색증은 완화되지 않는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심근경색 통증 부위 : 흉부 중앙 부위, 팔, 목 등으로 방사 -심근경색 원인 : 관상 순환계의 불충분한 혈액 공급 -증상 : 흉통, 심인성 쇼크, 핍뇨, 미열, 오심 구토, 급성 폐수종 등 -간호 : 절대 안정, 변비 예방, 진통제 투여 |
협심증 환자 퇴원 후 교육, 임신성 고혈압시 황산마그네슘 투여하는 이유, -협심증 환지 퇴원 교육 : 경구약은 차고 어두운곳에 보관, 알콜 섭취금, ntg는 설하로 투여(이유:구강점막에 의해 빨리 흡수되기 때문), 규칙적 운동 |
Cardiac arrest의 확진방법 |
기록할 때 주의사항, 간호기록의 목적, 간호기록이 틀렸을때 어떻게 해야하나? -간호 기록 : 체온, 맥박, 호흡, 혈압에 관한 사항, 투약에 관한 사항, 섭취 및 배설에 관한 사항, 처치와 간호에 대한 사항 등을 기록 -진료기록부 10년, 환자의 명부 5명, 간호기록부 5년, 조산기록부 5년 보관 -간호 기록시 실수했을 경우 적색으로 그 위에 한줄 혹은 두 줄을 긋고 그 위에 ‘오류’라고 표시한 후 이어서 수정하며 기록할 내용 기록 |
. 온요법의 목적, 아이스 백 -목적 : 통증 감소, 염증 울혈상태 감소, 체온 유지, 대사작용 증진, 환부의 화농과정 촉진 -온도 : 40~46도, 반드시 커버 씌워 피부 방지 |
소아병동에서 소아가 느끼는 가장큰 불안 |
마약 관리 방법 |
욕창 (욕창의 원인, 호발 부위, 예방법, 백 마사지 이유) -욕창이란 ? 뼈 돌출 부위에 국소적으로 조직 괴사가 일어난 상태 -욕창의 원인 : 혈관에 대한 압력으로 혈관순환 장애 발생으로 세포에 산소, 영양공급 차단되어 조직괴사가 일어남 (마찰과 응전력-압력과 마찰이 합쳐진 물리적인 힘) -호발부위 : 골격부위의 연조직 / 피부끼리 맞닿는 부위 / 자극 인자에 쉽게 노출되는 부위 천골, 대전자, 장골능, 경봉돌기, 팔꿈치, 무릎, -예방 법 *1시간 마다 체위변경. *부드러운 침구 사용 *등마사지 시행 *물침요, 에어 메트리스 등 압박 완화 보조기구 사용 *식이요법(고단백, 고비타민, 적절한 수분섭취) *관찰 -간호 *욕창부위 건조 및 개방 *욕창 부위 압력 및 원인 제거 *국소 청결 *충분한 영양 공급 |
흡인에 대해서 - 목적 : 기도 청결 유지 및 가스교환 용이하게 함, 분비물로 인한 호흡페쇄 사망 -1회 흡인시 10~15초 정도로 하고 흡인 사이의 간격은 20~30초, 흡인 전체시간은 5분으로 제한 -적응증 : 스스로 기침 할수 없는 환자(마취), 연하장애 있는 환자, 가래 뱉어내지 못해 폐렴이나 무기폐 위험있는자 -흡인 전 후 Ambu bagging 이유 : 환자를 환기시켜 저산소혈증 예방 위해 |
투약 원칙 5가지 -정확한 약, 정확한 용량, 정확한 시간, 정확한 경로, 정확한 대상자 +약물 투여시 3번 확인 단계 : 약장에서 약 꺼낼 때, 준비할 때, 다시 약장에 약병 넣을 때 +투약 과오시 -투약 대상자 상태 점검, 담당의사에게 알리고 과오 발생에 따라 수행된 처치 내용은 차트에 기록 -의도적이든 비의도적이든 투약하지 못한 경우는 기록 -투약 30분 후 치료효과, 부작용, 알레르기 유무 사정 |
차팅의 목적과 중요성, 운반자(간호사 ; 이유는 환자의 비밀을 지킬 권리) -의료 요원간에 의사소통의 도구, 법적인 증거, 연구 및 교육자료로 쓰임, 미래를 추정하는 자료로 쓰임, 도덕적인 책임감을 감사하는 자료로 쓰임 |
chest tube (긴 배액관과 짧은 배액관중 어느것을 사람 몸에 꼽아야 하는지) 흉곽배액할 때 긴배액관과 짧은 배액관 두가지가 있는데 어떤 배액관을 몸에 꼽는가? -긴배액관입니다. -목적 : 흉막강 내 흉막수, 혈액 혹은 공기 배출, 흉막강 폐쇄, 폐의 완전한 팽창 -튜브 눌리거나 꼬이지 않게. |
역격리와 격리에 관한 내용 ( 격리와 역격리, 역격리 대상자는 주로 어떤 질병을 가진 사람인지? ) -병원균이 있는 환경으로부터 환자를격려하는 것. 면역기능이 극도로 저하된 환자를 오염원이 있는 일반 환경으로부터 격리하여 먼지가 없이 청정한 공간에서 보호 -역격리 대상자는 주로 백혈병, 재생 불량성 빈혈, 극심한 백혈구 감소증, 항암화학요법 후 면역기능 저하되는 환자, 조혈모 세포이식 환자 등 |
산소 흡인할 때 간호 + 화재 날 수 있으므로 화기주의 + 배액관 막혔나 확인 + 배액관에 물들어있나 확인 + 환자와 보호자에게 교육 + 배액관 주입시 시간과 흡인압 지키기 |
일어날 수 있는 간호사고 하나씩과 그 대처방안 |
조증 환자 간호 |
tracheostomy 환자 간호 후 chart에 기록할 사항 |
간염의 종류, 증상, 중재 등등을 질문하셨고, 산소공급의 목적, 방법, 주의범 -A형 간염, B간염, C형 간염, D형 간엄 -중재 : 장기간 침상안정, 휴식, 적절한 식이, 간부전의 증상, 징후 관찰, 혈청검사 결과 관찰 등 |
기침 장려자. 하지 말아야 하는 자. |
구강간호의 목적, 그리고 대상자 |
갑상선암과 유방암 자가검진 방법, 시기, 특히 폐경기에는 언제 유방암 자가검진 |
간호과정의 단계 |
간호진단 |
배가 아플때 무엇을 기록 |
맥박에 대해 헤모글로빈 |
MRI |
크레아틴 수치, BUN수치 |
낙상 예방법 -대상자에게 낙상의 가능성 철저히 교육 -수시로 회진하면서 양쪽 침대 난간을 올려준다 -병원 바닥에 미끄러운 용액이나 물을 흘리지 않도록 -이동침대로 환자 이동시 침대 난간을 필히 올리도록 한다. |
수술간호, 수혈간호, 역격리 |
조기 이상 왜하는지 |
근육주사 부위 - 배둔근(둔부의 두꺼운 근육층), 측둔근, 외측광근, 대퇴직근, 삼각근 |
피내주사(AST) 판정 법 -발적 1~2cm 이상, 팽진 1cm이상, 소양증 환자가 구내 이상감, 두통, 현운, 이명, 안면 홍조 등 명확한 자각증상 나타낸 경우 양성 |
'being a Nurse > SN 4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습 수첩 정리 (0) | 2017.10.30 |
---|---|
병원 면접준비 ⑦ 송파구 자료 (0) | 2017.10.28 |
병원 면접준비 ⑤ 많이 나오는 질문 2 (0) | 2017.10.28 |
병원 면접준비 ④ 누가 쓴걸까 (입사 때 다시볼것!) (0) | 2017.10.28 |
병원 면접준비 ③ 많이 나오는 질문 (0) | 2017.1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