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eing a Nurse /NR + etc

eosinophilia(호산구 증가증)

by 간호하는 징징이 2021. 8. 22.
728x90

- 혈액 1μL에서 호산구가 500개 이상

- 원인

  감염 :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 특히 기생충 감염의심. 

  자가면역질환, 혈액, 종양, 약물 등 

- 증상 

  조직섬유증(폐, 심장, 소화관, 피부 등)

  혈전증/색전증 

  피부 홍반, 혈관 부종, 궤양, 습진

  만성적이거나 반복적인 신경학적 이상을 나타내는 말초 또는 중추 신경병증 

  간, 췌장, 신장 등 침범 

- 증상이 없는 경증의 호산구증가증은 3-6M f/u으로 충분. 

  1차적 증가원인 찾아 제거하는 게 중요. 기생충 감염 -> 항기생충약 복용. 약물일경우 중단.

  특발성 호산구 증가증, 척스트라우스 증후군(Churg-Strauss syndrome) 등 스테로이드 포함한 면역 억제 치료 필요. 

 

-> 지속적으로 CBC f/u, 기생충 검사(+) : N , steroid 치료 

'being a Nurse > NR +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TPN  (0) 2021.10.11
라디컷점적주사액30mg (ALS)  (0) 2021.08.23
r/o Vegetation -> TTE f/u  (0) 2021.08.15
0.9%엔에이시엘케이40주 : nomal saline + KCL 1VL  (0) 2021.08.15
anti platelet/anti coagulant  (0) 2021.02.25